-
모르면 해가 되는 퇴직금제도 알려주세요
2023. 1. 28.
#퇴직금제도 #퇴직금 #퇴직급여 #퇴직급여받기 #퇴직금받기
고용주가 퇴직금을 미지급한 경우 이럴땐 어떻게 조치해야 하나요?
구제절차, 지연이자의 지금 받을 수 있을까?목차
1. 퇴직금 제도
2. 의제되는 퇴직금제도?
3. 퇴직금 감소 예방조치는?
4. Q & A 사례
1. 퇴직금 제도
가. 퇴직금제도를 설정하려는 고용주는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 근로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제도를 설정해야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제1항).
2. 퇴직금제도의 의제
가. 2005년 12월 1일 이전에 고용주가 근로자를 피가입자 또는 수익자로 하여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퇴직 또는 퇴직일시금신탁에 가입하여 근로자가 퇴직할 때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수령하게 하는 경우에는 퇴직금제도를 설정한 것으로 봅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부칙(법률 제10967호, 2011. 7. 25.) 제2조제1항 본문 및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 부칙(대통령령 제23987호, 2012. 7. 24.) 제4조제1항].
3. 퇴직금 감소 예방조치는?
가. 퇴직금제도를 설정한 고용주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 근로자에게 퇴직급여가 감소할 수 있음을 미리 알리고 근로자대표와의 협의를 통해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나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로의 변경, 퇴직급여 산정기준의 개선 등 근로자의 퇴직급여 감소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32조제5항).
- 고용주가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등을 통해 일정한 연령, 근속시점 또는 임금액을 기준으로 근로자의 임금을 조정하고 근로자의 정년을 연장하거나 보장하는 제도를 시행하려는 경우
- 고용주가 근로자와 합의하여 소정근로시간을 1일 1시간 이상 또는 1주 5시간 이상 단축함으로써 단축된 소정근로시간에 따라 근로자가 3개월 이상 계속 근로하기로 한 경우
- 「근로기준법」(법률 제15513호, 2018. 3. 20. 일부개정, 2018. 7. 1. 시행)에 따라 근로시간이 단축되어 근로자의 임금이 감소하는 경우
- 그 밖에 임금이 감소되는 경우로서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경우
나. 근로자에게 퇴직급여가 감소할 수 있음을 알리지 않거나 퇴직급여의 감소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고용주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6조제3호).
4. Q&A 사례
Q1. 계약직으로 약 2년간 근무하고 정규직 전환이 됬는데 이 전환 경우 퇴직금이 연결되서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전환하면서 퇴직으로 진행되고 다시 정규직으로 입사?되는 과정을 거친다고 하는데 이경우는 퇴직금을 정산받아야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A1. 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퇴직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제1항 및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제1항).
동일한 사업장에서 일용직(계약직 및 비정규직)으로 입사하여 근무하다가 정규직 또는 기능직으로 임용되어 계속 근로한 근로자의 퇴직금 계산을 위한 계속근로연수 판단은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고용노동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질의회시집』, 49-50면 참조).
▶ 근로자의 자발적인 의사에 따라 일용직 사직의사 표시와 고용주의 사직수리가 이루어진 이후 정규직 또는 기능직으로 환직을 위한 시험 응시 등 임용절차를 거친 경우라면 근로관계는 유효하게 단절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일용직에 대한 근로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별채용절차를 밟아 채용이 확정된 후에 일용직 사직서를 제출한 후 정규직 또는 기능직으로 채용이 이루어진 경우라면 일용직에서 정규직 또는 기능직으로 환직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근로관계가 유효하게 단절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Q2. 1월 1일부로 정직원이 되어서 일하는 도중에 3월 말쯤에 산재를 당해서 11월 초까지 산재기간입니다.
산재 이후 12월 31일까지 일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고싶습니다.A2. 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퇴직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제1항 및 제8조제1항).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제6항).Q3. 작년 11월 초에 입사하여 올해 6월 말에 사업자 인원 감축으로 권고 퇴직하는 사람인데 실업급여를 제외하고 권고로 퇴직 시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A3. 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퇴직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제1항 및 제8조제1항).
고용주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해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근로기준법」 제26조 본문).관련글
728x90반응형'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2024 소방시설관리사 기출문제 풀이 (0) 2023.01.29 미지급 퇴직급여 지연이자 받는 방법 알려주세요 (0) 2023.01.29 퇴직급여 미지급시 구제방법 알려주세요 (0) 2023.01.28 퇴직하면 받는 급여에는 어떤것이 있나요? (0) 2023.01.28 아파트 생활 이슈 Q&A 알아 봅시다. (0) 2023.01.20 코로나 탈모 및 예방 방법 알기 (0)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