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7. 16.

     

    #Dronecode #mavlink #qgroundcontrol

    #707님_조종사 #2772님_정비사

     

    드론을 운용하는 누구나 알고 있는

    GCS(Ground control Station) 지상 통제소

    무인기에서 보내는 모든 명령, 무인기로부터 접수되는 모든 자료를 조정 및 통제하는 지상 센터.

    비행 전 · 중 · 후의 모든 상태를 통제한다.

     

    기체에 대한 개발은 많은 사람들이 하였지만,

    GCS에 대한 개발은 SW 코딩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개발 하는것은 정말로 많이 어렵다.

    하지만 걱정하지 말 것. 팀원 중 개발자를 구하거나

    본인이 개발자가 되어가면 된다.

     

    흔히 시중에 많이 알려져 있는

    Qgroundcontrol, MissionPlanner 등은

    오픈되어 있어 누구에게나 쉽게 운용 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GCS의 기능을 다 사용하지는 않는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것은 비행계획, 임무실시, 로그검색,

    영상 스트리밍 많이 사용하면 4가지 그 이상은 사용하지 않거나

    그 기능을 잘 몰라서 운용하지 않고 있다.

     

    대표적으로 mavlink 프로토콜의 기능을 알지 못하면

    GCS의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이슈들은 무용지물이 된다.

     

    나는 이 강좌를 시작하면서

    GCS 제작과 관련된 mavlink 기능과 역할,

    나타나는 이벤트 대해 조금씩 설명을 할 것이다.

     

    물론, 나도 전문가는 아니다, 그냥 이러한 지식을 공유하면서

    나의 지식도 조금더 쌓아보려고 하며,

    이렇게 시작한 강좌의 자료가 누적이 되어서

    우리나라 드론 산업에 큰 발전에 조금이라도 되고 싶다.

     

    나의 멘토이신

    707님과 2772님이 함께 동행을 할 것이다.

    이 두분의 동행은 나에게 큰 시너지를 주신다.

    나중에 두분의 내용도 조금씩 언급해 보겠다.

    그리고, 자문위원 윤전문가님, 강교수님, 이교수님

    ....

     

    오늘은 여기까지.

     

    728x90
    반응형